배열에서 사용가능한 함수
함수의 이름 | 함수의 의미 |
변수명.length | 함수의 길이를 찾음 |
변수명.push(추가할 값) | 배열에 값을 추가함 |
변수명.pop() | 배열에서 제일 앞 값을 빼냄 |
변수명.unshift(추가할 값) | 배열의 맨 앞에 값을 추가한다. |
변수명.shift() | 배열의 맨 앞 값을 제거한다. |
변수명.indexOf(찾을값) | 배열에 특정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true로 표시) |
변수명.includes(찾을 값) | 배열에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변수값이 있는지 여부확인 |
typeof 변수명 | 해당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찾음(배열은 object) |
변수명.reverse(); | 배열의 순서를 뒤집음(원본 배열도 변환되니 주의할 것) |
arr.join() | join 안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열로 병합 |
Object
메소드 체이닝
• 각각의 메소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개념!
• 단, 사용한 메소드가 반환(return)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
• ‘hello’.split(““) → [‘H’, ‘e’, ‘l’, ‘l’, ‘o’] 라는 배열이 반환 됨
• 배열에는 reverse() 라는 메소드가 존재
• ‘hello’.split(““).reverse() 는 [‘H’, ‘e’, ‘l’, ‘l’, ‘o’].reverse() 와 동일한 것!
• [‘H’, ‘e’, ‘l’, ‘l’, ‘o’].reverse() → [‘o’,’l’,’l’,’e’,’H’] 와 동일
• ‘hello’.split(““).reverse().join(“”) → [‘o’,’l’,’l’,’e’,’H’].join(“”) 과 동일
'국비지원 공부 정리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의 표준 객체(Date, Math) (0) | 2025.03.19 |
---|---|
JavaScript에서의 for문, filter(조건 만족하는 값 빼내기) (0) | 2025.03.19 |
JavaScript 정리 - 문자열에서 사용 가능한 메소드 (0) | 2025.03.19 |
JavaScript의 연산자 정리 (0) | 2025.03.19 |
JavaScript 기초 설명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