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ios 요청 방법
axios({
url : '통신하고자 하는 함수',
method: '통신하고자 하는 방식',
data: {json 형태의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
});
url | 서버 주소를 의미함 즉, 내가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서버단 주소 |
method | 데이터를 보내는 요청 방식으로 get, post, patch, put, delete가 있음 |
data/params | { key: value, key: value } 형태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Request의 body로 데이터를 보냄 단, Get에선 params Get엣넌 url에 ?를 이용해서 해당 데이터를 붙여서 보내도 동작함 |
Axios 문법 –응답
response.data | 서버가 제공한 응답(데이터) |
response.status | 서버 응답의 HTTP 상태 코드 성공이면 200 |
response.headers | 서버가 응답한 헤더 |
※ 이미지 출저 : KDT 국비교육 PPT에서 발췌하였습니다
'국비지원 공부 정리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패턴 (0) | 2025.03.27 |
---|---|
동적 폼 전송 방법 3가지 (0) | 2025.03.25 |
템플릿엔진 - EJS (0) | 2025.03.25 |
http 모듈 VS express 모듈 (0) | 2025.03.25 |
모듈이란?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