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3

OAuth와 JWT

OAuth(Open Authorization)•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 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 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개방형 표준• 즉,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 기 위한 프로토콜 OAuth의 버전버전 명특징OAuth 1.0•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권한을 얻기 위해 서명된 요청을 사용• 요청의 서명 부분은 어플리케이션의 비밀 키와 사용자의 토큰을 조합하여 생성되며, 이를 통해 보안 유지OAuth 2.0• OAuth 2.0은 보다 간편하고 확장성이 있는 버전으로, 기본적으로 인증과 권한을 분 리하여 다루는 것을 특..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서버구축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등)의 요청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늘 수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365일 24시간 다운되지 않고 전원 이 켜져 있어야 함• 주로 리눅스(Linux)나서버용 윈도우 운영체제(OS)를 사용• CLI (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에서 운영하는 것이 대부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안전하게 응답만 하면 되기 때문에 GUI 환경이 필요 없을 뿐더러 컴퓨터는 GUI를 운영하는데에도 리소스가 소모됨. 프로토콜이란?• 사람과 사람이 대화할 때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용 언어를 사용 (ex. 영어)• 컴퓨터와 컴퓨터도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함! 콜!!• 사전적 정의는 정보를 주고받는 양식..

환경변수?

환경변수?• 환경변수는 운영 체제(OS)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메커니즘• 프로그램의 동작을 조정하거나 구성• Node.js에서도 이러한 환경변수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설정과 동작을 조정Node.js에서는 process.env 객체를 통해 환경변수에 접근 Nodejs 환경변수 .env 파일• 환경변수를 관리하기 위해 .env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깃 저장소에 업로드 하지 말아야함!• File Zilla(FTP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버에 파일만 업로드• env 파일에 들어가는 정보 예시 : DB Port 주소, ID, PW 등등 Node JS에서 환경변수를 사용하는 방법1. npm 명령어를 이용해 환경변수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프로젝트에 추가한다.npm install ..